데이터사이언스학과

학과 설립 목적
미래가치에 대한 기여
현재의 컴퓨팅 기술은 저렴한 비용으로 엄청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는 국가차원의 지원이나 거대한 시설이 없이도 데이터가 가지는 가치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시대가 다가올 것을 의미한다. 특히 대용량 혹은 비정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저장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가치 창출을 위한 과학적 분석을 진행하는, 통합적이며 일괄적인 업무 프로세스가 혁신의 중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발전은 아직 학문으로서의 정형성을 가지지 못한 자연발생적인 흐름으로 인지되고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하나의 학문 혹은 과학의 영역으로 체계화하여 발전을 가속화하고 전문성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학계를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체계적인 발전에 대한 요구는 기업 혹은 국가와 같이 실무를 담당할 전문가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더욱 두드러지며, 이것이 가까운 미래의 가치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데이터과학과는 컴퓨터가 제공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다양한 기법을 연구한다. 더불어 이러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가치 중심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서비스를 완성하는 최적의 융합 시스템을 구성하여 데이터 과학(Data Science) 발전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고급인력의 양성
데이터 과학이 강조되면서 자연스럽게 데이터 과학자(Data Scientist)가 주목받고 있다. 데이터 과학자는 자료의 수집/저장/처리/분석/활용으로 이루어지는 통합된 프로세스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전문가로 정의할 수 있다. 기업과 국가가 특정 비즈니스 가치의 제공을 요구하면, 데이터 과학자는 주어진 업무 프로세스에 따라 일련의 결과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결국 데이터 과학자는 컴퓨터의 활용, 자료의 분석, 비즈니스 모델링 등에 대한 지식을 고루 갖추어야 하며, 이러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문분야를 통합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고, 각 분야의 전문가에 의한 체계적인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외 다양한 기관에서 이러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있으며, 본 데이터과학과는 이러한 흐름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